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시민들이 경찰의 존재를 체감할 수 있는 장소, 바로 집근처 파출소나 치안센터죠.<br><br>그런데 막상 건물만 있고 인력 부족으로 비어둔 치안센터가 적지 않아, 범죄예방에 무용지물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> <br>현장 카메라, 전민영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천장 페인트가 떨어져 입구에 쓰레기처럼 널브러져 있고, 내부는 불이 꺼져있고 문은 잠겼습니다.<br><br>요즘 주민 불안감이 최고조라는 신림동의 한 치안센터인데요.<br><br>치안 사각지대가 된 치안센터, 가보겠습니다.<br> <br>평일 낮이지만 문은 닫혀 있고, 수차례 벨을 눌러도 응답이 없습니다. <br> <br>인근에 있는 또 다른 치안센터, 불은 켜져 있는데 문고리에는 우편물이 꽂혀있습니다. <br> <br>3시간 이후 다시 찾아가봐도 마찬가지.<br><br>순찰 중이던 경찰관은 "인력이 없어 비어있는 것"이라고 설명합니다. <br><br>[서울 ○○지구대 경찰관] <br>"예전에 있었는데 이제 정년퇴임하시고 일시적으로 지금 (비어있는)…. 인원이 너무 부족하다 보니까 오히려 여기는 이제 배정이 안 돼서." <br> <br>기존 파출소를 통폐합해 지구대로 만들면서 남는 건물에 소수 인력을 파견해 초소처럼 운영하는 게 치안센터입니다. <br><br>하지만 주민들은 이곳이 정상적으로 치안 업무를 하는지 알지 못합니다. <br> <br>[신림동 주민] <br>"칼부림도 일어나고 이번에 산에서도 그랬잖아요. 그래서 저는 솔직히 지나가는 사람들마다 계속 놀라긴 하거든요. 필요한데 열려 있는 걸 못 봐서. (의지가 안 돼요?) 네." <br> <br>신림동만의 문제는 아닙니다. <br> <br>어린이보호구역 앞에 있는 치안센터도 잠겼습니다. <br> <br>분실물을 주운 시민은 문고리에 올려놓을 수밖에 없었습니다.<br><br>긴급 전화기에는 먼지가 잔뜩 쌓여 있고, 거미줄까지 쳐져 폐가나 다름없습니다.<br><br>문 두드려도 응답 없는 또 다른 치안센터.<br><br>관할 지구대에 전화했더니 5분 뒤쯤 안에서 경찰 한 명이 문 열고 나옵니다. <br> <br>[경기 ○○지구대 경찰관] <br>"조금 졸았어요, 내가. 사실 밥 먹고 안 졸 수가 없어, 앉아 있으니까." <br> <br>경찰관들이 잠시 쉬다 가는 곳이 된 겁니다. <br> <br>[경기 ○○지구대 경찰관] <br>"치안센터가 유명무실하고 자원해서 나온 사람은 근무를 하고, 그걸 (아무도) 안 할 때는 폐쇄시켜놔요." <br> <br>서울 경기 치안센터 202곳 중 상주 인력이 없어 종일 비어 있는 곳만 63곳.<br><br>인력이 배치된 곳도 밤에는 운영하지 않습니다. <br> <br>야간에도 이렇게 불을 밝히고 있는데요. <br> <br>그런데 정작 굳게 잠겨 있고 안엔 아무도 없습니다.<br> <br>지난 2월 택시기사 김덕기 씨는 야간 운행 중 승객에게 폭행을 당했습니다. <br> <br>급히 근처 치안센터를 찾아갔지만 헛걸음만 했습니다. <br> <br>[김덕기 / 택시기사] <br>"주먹으로 그냥 한 대 치는 거야, 여기를. (치안센터로) 갔는데 보니까 불은 켜져 있는데 문이 걸려 있는 거야." <br> <br>결국, 가해 승객을 다시 태운 채 경찰을 찾아 이동해야 했습니다. <br> <br>[김덕기 / 택시기사] <br>"인력이 부족하면 없애야지 그걸 뭐 하러 놔두냐고요. 뭔 일이 있을 때 바로 쫓아갈 수 있는 데가 내 동네 치안센터나 지구대(인데)…." <br> <br>정부는 '보이는 경찰'을 강조하며 범죄 예방을 하겠다지만 정작 치안센터는 잠겨 있고 경찰은 보이지 않습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전민영입니다. <br> <br>PD : 장동하 윤순용 <br>AD : 석동은 <br>작가 : 전다정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